초여름과 초겨울을 오가는 듯한 일교차심한 나날입니다.
가디건을 걸치고 나와 오후에는 벗을 수 밖에 없지만
체질에 따라 춥다는 분들도 많은 걸 보면
제가 더위를 많이 타긴 타나봅니다ㅎ
얼마전 공짜?로 생긴 백화점 상품권이 있어
몇장은 쓰고 몇장은 그냥 현금교환소에 가서 바꿨는데
교환소 마다 시세가 약간의 차이는 있을테지만
시세표가 있어 공유차원에서 올려봅니다^^
상품권 시세
(10만원권 기준)
신세계 이마트 : 팔때 96,000원 / 살때 98,000원
대구백화점(모다) : 팔때 95,000원 / 살때 96,500원
홈플러스 : 팔때 96,000원 / 살때 98,000원
롯데백화점(하이마트) : 팔때 96,000원 / 살때 98,000원
현대백화점 : 팔때 96,000원 / 살때 97,500원
이랜드(동아백화점) : 팔때 95,000원 / 살때 98,000원
농산물(농협) : 팔때 96,000원 / 살때 97,500원
금강제화(랜드로바) : 팔때 72,000원 / 살때 77,000원
백화점 1만원권 매입가격은 10만원권보다 1% 추가되며
5천원권이하 및 증정권 등은 10% 매입이라네요.
(1만원권 기준)
해피머니문화상품권 : 팔때 9,000원 / 살때 9,400원
온누리 전통시장 : 팔때 9,600원 / 살때 9,900원
파리바케드 : 팔때 8,000원 / 살때 9,500원
문화상품권 : 팔때 9,000원 / 살때 9,400원
GS주유소 : 팔떄 9,650원 / 살때 9,850원
SK주유소 : 팔때 9,700원 / 살때 9,900원
-------------------------------------------
비슷해 보이지만, 조금 또는 많이 차이가 나는 것도 있네요.
선물용으로 살때는 가능한 저렴한 상품권으로 사고
팔때는 가능한 높게 팔 수 있는 상품권으로 받아야 할듯...ㅎ
아, 그리고 예전에 한번 백화점에가서 현금으로 사면
얼마나 디씨되냐고 묻다가 망신 당한적이 있는데
위에 상품권시세표에 나온 살때가격은 교환소마다 다르고
백화점이 아닌 교환소에서 현금으로 살때 기준입니다.
문화상품권이나 주유소상품권도 현금교환 된단건 몰랐네요^^
'잡동정보 >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코로나 긴급생계자금 지급 안내문(자격조건/신청방법) (0) | 2020.04.04 |
---|---|
대구시 남구 학교 및 학생수와 도서관(대구교육통계자료 참조) (0) | 2019.11.02 |
LH연금형 희망나눔주택[단독.다가구주택매입] (0) | 2019.10.20 |
금연하고 싶다면?? [금연두드림] (0) | 2019.10.15 |
알콜중독 예방 및 관리(선별검사) (0) | 2019.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