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과 맘이 요즘 많이 피곤하다 싶더니
결국 환절기에 감기가 오고 말았네요.
감기를 달고 사는 체질도 아니거만 좀만 조심할 껄ㅡㅡ;;
잇님들도 환절기 감기 조심하세요^^
오늘은 확정일자 받는법을 포스팅해 볼까합니다.
부동산 관련일을 하는 저에게는 너무나 싶고,
한번 해본 사람도 너무 싶다는 걸 아시겠지만,
아직도 잘 모르시는 분들도 많더군요.
또 사회 초년생들을 위해서라도 올려봅니다^^
주민센터(동사무소) 방문해서 받는 법이 제일 간단한 거 같아요.
이사 하는 집 주변이니 가깝기도 하고... 먼저, 전입신고는 다 하실꺼죠?^^
입주하는 날 전입신고 하러 가실때, 전,월세 임대차계약서 원본을 가지고
계약서상에 해당 주소지 주민센터에 가셔서 확정일자 받으러 왔다고
말씀하시면 비용 몇백원 받고, 바로 확정일자 적어 줍니다.
기다리는 사람만 없다면 5분내 끝!
등기소 방문 후 확정일자를 받아도 되지만,
웬만해선 등기소는 좀 멀더라구요^^
마지막으로 인터넷 등기소에서 확정일자 받는 방법도 있는데
회원가입, 로그인, 공인인증서, 계약서 스캔등 귀찮더군요.
주민센터는 평일이라면 점심시간에도 운영되는데,
그 조차도 시간이 안된다면 인터넷등기소를 이용하시길...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던데,
확정일자는 반드시 받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혹시나 해서 다들 받더군요.
몰론, 받아서 나쁠건 없지만...ㅎ
주택임대차 보호법의 최우선변제금
범위안에 해당되는 금액의
보증금 계약이라면,
거주 + 전입신고만으로도 대항력이 생기죠.
암튼, 잘 모르시는 분들은 그냥
전입신고 + 거주 + 확정일자 다 해놓으시는 게...^^
확정일자를 왜 받나 싶은 분도 있겠죠?
쉽게말해, 혹시 집이 경매 넘어가면 순위배당 시 필요한데,
내용증명처럼 그 순위를 국가기관에서 확인해 주는 제도입니다.
내용증명서도 3부 작성해 1부는 우체국에서 보관해두듯,
주민센터나 등기소등에서 계약서의 내역을 받는 날짜에 확인해 주는 거죠.
여기까지 확정일자에 관한 간략한 포스팅이였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되셨다면
공감 꾸~욱! *^^*
'부자정보 > 부동산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피스텔 관련 세금(취득세, 부가세, 일반임대사업자, 주택임대사업자 등) (0) | 2016.12.03 |
---|---|
하자 보수 범위와 하자 담보 책임 기간[파일첨부] (0) | 2016.11.26 |
내용증명서 작성 및 보내는 법 - [서식첨부] (0) | 2016.11.08 |
전세 연장 계약(계약연장)시 주의사항 (0) | 2016.09.25 |
부동산 소유권이전 등기시 필요서류 (0) | 2016.09.09 |